임시완, 천우희 주연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한시도 스마트폰을 꺼뜨리지 않고, 의지하며 살아가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은 물론, 업무를 하고, SNS를 하며, 마트에서 계산을 하기도 하며 아침에 일어날때부터 잠에 들때까지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살아간다. 또한 스마트폰에는 사람들의 비밀스런 정보들도 담겨있다. 친구들과의 사적인 대화부터, 금융 계좌의 비밀번호, 개인적인 사진과 동영상 등 우리의 모든 정보들이 모두 손바닥만한 스마트폰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이런 스마트폰을 잃어버린다면 어떻게 될까. 사람들은 대수롭지 않게 다시 잃어버린 스마트폰에 전화를 걸어 되찾거나 찾지못하면 다시 구입하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는 각자 비밀번호나 잠금 패턴이 있기 때문에 이를 악용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때문이다. 하지만, 뛰어난 해킹기술을 가진 사람이 우연치 않게 스마트폰을 주워 이를 악용하려한다면 어떻게 될까. 영화는 스마트폰을 분실했을때의 무서움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누군가 내 스마트폰을 조종해 또 다른 나를 만들어낸다.
회사원인 나미(천우희)는 친구들과의 즐거운 술자리 후 술에 취해 버스에 오른다. 잠시 정신을 잃은 나미는 목적지에 도착하자 부랴부랴 짐을 챙겨서 내린다. 하지만 나미가 앉아있던 자리에는 자신의 스마트폰이 떨어져 있었고 이윽고 준영(임시완)이 떨어져있는 스마트폰을 주워간다. 다음날 나미의 친구 은주는 술에 취해있던 나미가 걱정돼 전화를 걸어 나미가 스마트폰을 잃어버렸다는 사실을 먼저 알게 되고 나미의 집을 찾아간다. 준영은 어플을 이용해 자신이 여자인 척 통화를 하고 나미의 휴대폰을 일부러 부숴 나미를 자신의 휴대폰 수리점으로 유인한다. 휴대폰을 수리해준다는 말로 안심시킨뒤 비밀번호를 알아내어 나미의 휴대폰에 스파이웨어를 설치해 돌려준다. 이로써 나미의 모든 일상이 준영에게 노출된다. 나미가 있는 장소, 친구들과의 대화, 집 주소, 비밀번호까지.. 준영은 나미를 괴롭힐 목적으로 나미의 모든것을 수첩에 적어나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나미가 잠든 사이 나미의 스마트폰을 원격조종하여 나미의 최측근들을 한명 한명 멀어지게 만든다. 나미는 낭떠러지 앞으로 쫓기는 초식동물처럼 순식간에 갈 곳을 잃고 위기에 처한다.
스마트폰 분실로 인한 범죄라는 독특한 소재
현대 사회에서 스마트폰은 마치 우리의 신체 일부라도 된 듯이 그 중요성이 어마어마하게 커졌다. 스마트폰으로 가족,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부터 업무를 보고 재산을 관리하는 것까지, 지금의 스마트폰은 우리의 삶 어느 곳에서도 사용이 될 만큼 중요한 존재가 됐다. 하지만 이를 잃어버린다면 어떻게 될까. 단순히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감독은 최악의 상황까지 생각하여 주인공을 위기로 몰아간다. 요즘들어 불법적인 스마트폰 정보유출과 해킹, 사이버범죄, 보이스피싱 등 다양한 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폰 분실로 인한 해킹‘이라는 소재는 참신할 뿐더러 시의적절했던 것으로 보인다. 필자도 영화 자체를 스마트폰으로 봄으로써, 내 휴대폰을 누군가 조종하거나 나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한다면 얼마나 끔찍할까 하는
상상을 하며 영화에 몰입할 수 있었다.
임시완, 천우희라는 연기파 배우들의 안정적인 연기력
‘제국의 아이들’이라는 아이돌 가수로 데뷔한 임시완은 아이돌 답지 않은 연기력으로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여타 다른 아이돌 출신 배우들과는 달리 다양한 배역을 마다하지 않고 주연과 조연을 넘나들며, 지금은 명실상부 연기파 배우로 인정받고 있다. 이번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영화에서도 아무 이유없이 사람들을 괴롭히고 죽이는 살인마 역을 맡은 임시완은 특유의 안정적인 연기력과 대사 전달력으로, 관객이 영화에 잘 몰입할 수 있게 도와줬다. 천우희 또한 독립영화부터 시작한 연기파 배우로써 이번 영화에서도 신뢰감 있는 연기를 선보였다.
넷플릭스에서의 한국 미디어의 강세를 이어갈 수 있을까
현재 넷플릭스에서 우리나라 미디어는 ’오징어 게임‘ 같은 드라마뿐만 아니라 ’피지컬100‘ 같은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전세계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드라마와 예능뿐만아니라 영화에서도 그 기세를 이어나갈 수 있을지 궁금하게 만드는 영화다. 스토리 중반 이후부터 개연성이 떨어진다, 스토리의 치밀함이 부족하다라는 평이 올라오고 있지만 신선한 소재의 영화인만큼 한 번쯤 감상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같다. 지금 이순간 당신의 스마트폰도 안전한지 점검해보라.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일무이하게 성공한 우리나라 괴수 영화 - 영화 괴물 (0) | 2023.02.14 |
---|---|
부도덕한 사회지도층을 향한 통쾌한 한방 - 영화 베테랑 리뷰 (0) | 2023.02.01 |
인류가 외계인과 같이 살면 어떻게 될까 - 디스트릭트 9 (0) | 2023.01.24 |
전쟁의 잔혹함과 민족의 아픔 -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0) | 2023.01.17 |
반복되는 일상에 대한 저항 - 영화 파이트 클럽 (0) | 2023.01.08 |
댓글